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conda base 활성화
- 려려
- 티스토리챌린지
- window netstat time wait 제거
- conda 가상환경 설정 오류
- time wait port kill
- 실행중인 포트 죽이기
- conda 기초 설정
- conda base 기본 설정
- 오블완
- 3000 port kill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99)
모도리는 공부중
[ 목차 ] 2023.11. 개발 궁금증 링크 일기 공간 그리기 관련 처리 공간 데이터 타입(Spatial Data Type) :: 꿈을 향하여 질주하기 (tistory.com) db에 우선은 varchar로 처리하긴 하지만 알아둬야 할 것 같아서 킵 VSCode VSCode 익스텐션 추천 리스트 | Lazy Ren Docker Docker로 쾌적한 딥러닝 실험 환경 구성하기 · ML감자 (pebpung.github.io) docker dit 옵션과 attach — Be A Maker (tistory.com) [Docker 기본(5/8)] Volume을 활용한 Data 관리 | by yjs0997 | DT Evangelist 기술 블로그 | Medium Docker Network : 호스트와 컨테이너를 ..
지금까지 이 정도면 그래도 나름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잘 모르는 것은 구글링하며 사용하는 정도면 된다고 생각했고. 역시 사람은 내가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부분에서 허점이 생길 수밖에 없나보다. 공부가 필요하다. Do it! 시리즈인 깃&깃허브 입문 책과 추가적인 구글링을 통해 내용 정리를 시작해보자. 01. 깃 시작하기 35쪽 빔 ex모드 명령 ':q!' 설명: 문서를 저장하지 않고 편집기를 종료합니다. 확장자가 .swp인 임시 파일이 생성됩니다. !를 붙이면 강제로 설정한다는 것만 알고 있었는데, :q!를 할 경우 swp 확장자 파일이 생기는지는 모르고 있었다. 수정을 하던 와중에 강제 종료를 할 경우 임시파일을 만들어준다는 거구나. 36쪽 git config --global core...

[ 목차 ] 2023.10. 개발 궁금증 링크 일기 개인 공부 관련 JavaScript 스프레드 문법 NestJS 강의를 듣고 있는데 현재는 db가 아닌 메모리에 탑재해놓고 crud를 진행중이다. 그러던 중 아래 코드와 같이 스프레드 문법을 이용하면 기존 내용을 복사해와서 기존 내용 위에 변경된 일부 내용만 덮어씌우기가 가능한 것처럼 설명하는데 뭔가 잘 이해가 안 가서 gpt한테도 물어보고 추가 검색도 진행해봤다. update(id: number, data) { const index = this.getBoardId(id); if (index > -1) { this.boards[index] = { ...this.boards[index], ...data } } } gpt 설명 좋아, 좀 더 자세히 설명해보겠..
[ 목차 ] 2023.01. 개발 궁금증 링크 일기 2023.02. 개발 궁금증 링크 일기 2023.03. 개발 궁금증 링크 일기 2023.04. 개발 궁금증 링크 일기 2023.08. 개발 궁금증 링크 일기 2023.09. 개발 궁금증 링크 일기 [블로그] 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리 11-2 - 네트워크 [블로그] [Typescript] dotenv와 cross-env를 이용한 환경변수 설정 및 환경에 따른 환경변수 분리 [블로그] 도커 환경에서 SSL인증서 발급받기 - (부제: HTTPS 설정하는 법) 도커 로그로 인해 용량이 가득 차서 뭐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상황에 또 맞닥뜨렸다. 예전엔 그냥 아묻따 var/lib/docker/overlay2 경로에 있는 파일을 다 지워주면 된다라는 소리를 들었지만,..

[ 목차 ] 아래 과정은 IAM 유저도 만들지 않고 그냥 무작정 진행한 사람의 좌충우돌기를 담고 있습니다. 정식 배포용으로는 도커 컨테이너를 이용하려고 하지만 개발 테스트 배포용으로는 조금 더 편리한 Elastic Beanstalk을 활용해보고 싶은 마음에 여러가지 글을 읽어보며 실습해보게 됐다. 아래 진행 순서는 Elastic Beanstalk으로 어플리케이션과 환경 생성부터 진행한 다음 파이프라인을 만들어 연결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것이다. 1. Elastic Beanstalk 어플리케이션 생성 및 환경 구성 애플리케이션과 환경 구성 환경 구성만 먼저 진행해보자. 플랫폼을 선택해주자. 현재 전 세계적으로 npm과 GLIBC 버전 호환 등의 문제가 있어 node version 18이 안정화(LTS)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