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오블완
- 실행중인 포트 죽이기
- conda base 기본 설정
- time wait port kill
- 려려
- conda 가상환경 설정 오류
- 3000 port kill
- conda base 활성화
- conda 기초 설정
- window netstat time wait 제거
- 티스토리챌린지
Archives
- Today
- Total
모도리는 공부중
2023.10. 개발 궁금증 링크 일기 본문
728x90
반응형
[ 목차 ]
[블로그] 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리 11-2 - 네트워크
[블로그] [Typescript] dotenv와 cross-env를 이용한 환경변수 설정 및 환경에 따른 환경변수 분리
[블로그] 도커 환경에서 SSL인증서 발급받기 - (부제: HTTPS 설정하는 법)
도커 로그로 인해 용량이 가득 차서 뭐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상황에 또 맞닥뜨렸다. 예전엔 그냥 아묻따 var/lib/docker/overlay2 경로에 있는 파일을 다 지워주면 된다라는 소리를 들었지만, 진짜 막 지워도 되는 거야? 라는 불안함을 지울 수가 없었다. 좀 더 안전하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 것 같은데?라는 생각이 계속되어 overlay2에 대한 글을 찾아보았다.
이걸 보고 나니 왜 자주 사용하는 도커 명령어로 다음 명령어를 정리해두셨는지 이해가 간다.
docker none 이미지 삭제 명령어
$ docker rmi $(docker images -f "dangling=true" -q) --force
docker의 용량을 많이 잡아 먹는 overlay2 삭제
$ docker system prune -a -f
나는 이미 글을 읽으며 아래 명령어들을 사용한 상황이다.
> docker image prune -a
image prune는 이름 없는 모든 이미지를 삭제한다.
> docker system prune -a
system prune는 중지된 컨테이너 , 사용하지 않는 네트워크, 사용하지 않는 레이어를 모두 삭제한다.
(현재 실행 중인 컨테이너 빼고 전부 삭제)
docker image prune -a만 했는데 벌써 36기가 상당을 확보했다.
728x90
반응형
'내 지식 정리 > 날것 그 자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마스터하기 (0) | 2023.11.18 |
---|---|
2023.11. 개발 궁금증 링크 일기 (0) | 2023.11.05 |
[AWS] Elastic Beanstalk으로 Node.js 앱 배포 트러블 슈팅 좌충우돌기 (0) | 2023.09.09 |
2023.09. 개발 궁금증 링크 일기 (0) | 2023.09.01 |
2023.08. 개발 궁금증 링크 일기 (0) | 2023.08.14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