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conda base 기본 설정
- window netstat time wait 제거
- 실행중인 포트 죽이기
- conda base 활성화
- time wait port kill
- conda 가상환경 설정 오류
- 려려
- 오블완
- 티스토리챌린지
- 3000 port kill
- conda 기초 설정
Archives
- Today
- Total
모도리는 공부중
[Git] 마스터하기 본문
728x90
반응형
지금까지 이 정도면 그래도 나름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잘 모르는 것은 구글링하며 사용하는 정도면 된다고 생각했고.
역시 사람은 내가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부분에서 허점이 생길 수밖에 없나보다. 공부가 필요하다.
Do it! 시리즈인 깃&깃허브 입문 책과 추가적인 구글링을 통해 내용 정리를 시작해보자.
01. 깃 시작하기
35쪽
빔 ex모드 명령
':q!'
설명: 문서를 저장하지 않고 편집기를 종료합니다. 확장자가 .swp인 임시 파일이 생성됩니다.
!를 붙이면 강제로 설정한다는 것만 알고 있었는데,
:q!를 할 경우 swp 확장자 파일이 생기는지는 모르고 있었다.
수정을 하던 와중에 강제 종료를 할 경우 임시파일을 만들어준다는 거구나.
36쪽
git config --global core.editor "notepad++"
깃 기본 편집기를 설치 후에 바꿀 수 있다는 것도 지금 알았다.
cat
파일 내용을 편집기를 통하지 않고 터미널 상에 출력해주는 명령어라는 것은 알고 있었다.
하지만
cat 파일1, 파일2 ... 파일n > 새파일
cat 명령어를 통해 파일 여러 개를 순서대로 하나로 묶어서 새로운 파일로 생성하거나
cat 파일1 >> 파일2
파일1의 내용을 파일 2 끝에 연결하는 등의 추가적인 사용법은 알지 못했다.
와.. 나 많이 몰랐네.
728x90
반응형
'내 지식 정리 > 날것 그 자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01. 개발 궁금증 링크 일기 (2) | 2024.01.09 |
---|---|
2023.12. 개발 궁금증 링크 일기 (0) | 2023.12.04 |
2023.11. 개발 궁금증 링크 일기 (0) | 2023.11.05 |
2023.10. 개발 궁금증 링크 일기 (0) | 2023.10.11 |
[AWS] Elastic Beanstalk으로 Node.js 앱 배포 트러블 슈팅 좌충우돌기 (0) | 2023.09.09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