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window netstat time wait 제거
- 실행중인 포트 죽이기
- conda 기초 설정
- 3000 port kill
- time wait port kill
- 오블완
- conda base 활성화
- conda base 기본 설정
- 려려
- conda 가상환경 설정 오류
- 티스토리챌린지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99)
모도리는 공부중

ppt교재 Numpy 모듈(라이브러리) - 약간 계산기라고 부르고 싶다고.. 확장자가 .py인 파일 변수나 함수 또는 클래스를 모아놓은 파일 파이썬 프로그램에서 불러와 사용할 수 있게끔 만들어진 파이썬 파일이라고도 한다. import 모듈이름 모든 연산자 사용 가능 from 모듈이름 import 함수(or클래스) 특정 연산자만 사용하기 원할때 책을 보고 공부가 필요할 것 같다!! 파이썬생활프로그래밍 168쪽 5. 다양한 패키지로 데이터 분석하기 편! 분석에 특화된 모듈(라이브러리) NumPy - 고성능 과학계산을 위한 데이터 분석 라이브러리 Pandas - 행과 열로 구성된 표 형식의 데이터를 지원하는 라이브러리 Matplotlib - 2D 그래프로 시각화가 가능한 라이브러리 파이썬 생활프로그래밍 교재로..

뷰 라는 객체를 배워봅시다. vol2, p15 11장. 뷰 생성 p17 뷰 - 논리적으로 하나 이상의 테이블에 있는 데이터의 부분 집합을 나타냅니다. 보안적 측면과 굉장히 밀접한 연관이 있는 객체. p19 실습을 통해 사용 목적 확인하겠습니다. p20 하나의 테이블에서 테이블 변경 없이 그대로 보여주는 것 - 단순 뷰 두개 이상의 테이블이나 변형된 값을 보여주는, 변형이 되는 뷰 - 복합뷰 구분해서 볼 필요는 없다. 사용되는 명령어가 달라지거나 그러지 않으므로. p22 뷰는 as 서브쿼리를 이용해서 생성이 된다. 생성해봅시다. 잘 생성됐는지 확인해볼까요? p23 열 별칭을 사용해서 만들어보자. 어제 배운 복사된 테이블은 독립된 테이블이므로 원테이블이 변경되어도 그 값이 적용되지 않았지만, view는 그 ..

vol1, p389 create table 서브쿼리 문장은, 컬럼이름을 가져올때 실제 구조 전체를 가져와서 출력을 하면 그대로 인서트로 보여준다. create table 다음에 오는 as는 서브쿼리를 가져와라 라는 하나의 문법이다. Q. 부서별 평균급여를 저장하는 AVGDEPT 테이블을 생성하시오. 부서번호는 DEPTNO, 평균급여는 AVGSAL로 저장하시오. 서브쿼리 실행했을때 그대로 테이블로 만들어진다. 기존 테이블을 가져와 쉽게 복사할 수 있다는 장점, 기존 테이블과 독립된 테이블로 인식이라는 단점. - 수시로 데이터가 변경되어야하는 경우 불편 이력성 데이터 = 히스토리컬 데이터 : 과거와 현재 데이터를 계속 누적시켜 비교가 가능함. 크기가 매우 큰 관계로 소멸을 언제 시켜야할지 판단을 잘해야함. ..

28. 시애틀에 근무하는 사람 중 커미션을 받지 않는 모든 사람들의 이름, 부서명, 지역ID를 출력하시오. 29. 이름이 DAVIES인 사람보다 후에 고용된 사원들의 이름 및 고용일자를 출력하시오. 고용일자를 역순으로 출력하시오. 30. King을 매니저로 두고 있는 모든 사원들의 이름 및 급여를 출력하시오. 31. 회사 전체 평균 급여보다 더 많이 받는 사원들 중 / 이름에 u가 있는 사원들이 근무하는 부서에서 / 근무하는 사원들의 사번, 이름 및 급여를 출력하시오. select 끝! vol1, p317 8장 데이터 조작 셀렉처럼 이제 고민 안하셔도 됩니다. DML연산 삽입, 수정, 삭제 데이터 작업을 모아놓은 단위를 우리는 트랜잭션이라고 했었다. 롤백과 커밋. commit 정상작업종료됐을때 물리적으로..

어제 보충시간에 한 별만들기. 수업 전에 해봅시다. 함수란? - 입력값을 가지고 어떤 일을 수행한 다음에 그 출력물을 내어놓는 것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 반복적인 프로그래밍을 피할 수 있다. 모듈화로 인해 전체적인 코드의 가독성이 좋아진다. 프로그램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기능의 변경이 필요할 때에도 손쉽게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콤마를 이용해 매개변수를 여러개 넣을 수도 있다. 만약 매개변수를 여러개 지정하고 하나만 쓴다면? Return이 없는 경우 - 아무것도 출력하지 못한다. 응용해서 별도 만들어볼까요? 최대공약수를 구해볼까요? 호재법을 사용하면 좋습니다! Q. 두 수를 입력받아서 두 수의 최대공약수를 출력하는 함수를 정의하시오. list를 쓴다면 append기능을 이용해서 이렇게 3가지 방법으로 풀 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