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conda 가상환경 설정 오류
- conda base 기본 설정
- 실행중인 포트 죽이기
- window netstat time wait 제거
- 려려
- time wait port kill
- 티스토리챌린지
- 오블완
- conda 기초 설정
- conda base 활성화
- 3000 port kill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99)
모도리는 공부중

for를 밖에서 먼저 하지 말고 안에 집어넣어서 한 번 해보세요! 실패중... 연구원님 : 저랑 같이 해봅시다! 딕셔너리(dictionary)란? - "홍길동씨는 나이가 58세이고 키는 170cm 몸무게는 60kg이다. dictionary는 단어 그대로 해석하면 사전이라는 뜻 dictionary는 Key와 Value를 한쌍으로 갖는 자료형 딕셔너리 타입은 immutable한 key와 mutable한 value로 맵핑되어 있는 순서가 없는 집합 딕셔너리명 = {Key : Value, Key : Value, …} ※ Key에는 변하지 않는 값을 사용하고, Value에는 변하는 값과 변하지 않는 값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콤마를 기준으로 한쌍. 순서가 없기 때문에 리스트처럼 인덱싱을 할 수가 없다. 딕셔너리명..

20. 동일한 직업을 가진 사원들의 총 수를 출력하시오. - 잡아이디를 그룹화를 먼저 시키고, 그 잡아이디 그룹에 대해 몇명이냐 물어보는 카운트함수를 사용하면 되지 않을까요? 21. 매니저로 근무하는 사원들의 총 수를 출력하시오. 22. 사내의 최대 급여 및 최소 급여의 차이를 출력하시오. select max(salary) - min(salary) from employees ; 23. 매니저의 사번 및 그 매니저 밑 사원을 중 최소 급여를 받는 사원의 급여를 출력하시오. - 매니저가 없는 사람들은 제외한다. - 최소 급여가 5000 미만인 경우는 제외한다. - 급여 기준 역순으로 조회한다. 방금전에 관리자의 수가 18명인걸 봤죠? 그 18명을 관리자로 둔 사원들.. select manager_id, em..

while문 while 조건식 True : ㅇㅇㅇㅇㅇ 실행 while 조건식 False : ㅇㅇㅇㅇㅇ 실행 안함 random 라이브러리 사용 라이브러리 import 실행하면 랜덤이라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다. 한 번 실행하면 매번 불러올 필요 없이 계속 사용. 다만, 커널에서 리스타트하면 랜덤값도 초기화되므로 필요시 다시 실행. 이걸 다 아는 사람은 없다. 그러니 검색을 잘하는 것도 능력. '파이썬 random 함수'라고 검색해도 좋다. random.randint() 사용 - 1 ~ 10 범위의 숫자 랜덤 추출 실행할 때마다 숫자가 계속 바뀐다. 무작이 추출이기 때문. 리스트처럼 중간값만 뽑는게 아닌 양끝도 다 출력한다. 재미있는 랜덤게임을 만들어보자 선생님과 함께하는 푸는 시간 for문 - 문자열..

vol, p194 오라클 사용 전용 조인 4가지를 살펴봅시다. 등가 조인 - 같은 값의 데이터가 존재했을 때 그 값을 '같다'라는 조건으로 행을 매칭하는 조인. 비등가 조인 - 전혀 다른 데이터를 기준으로 '다르다'라는 조인을 수행. 포괄(아우터) 조인 - 어느 한쪽의 데이터가 없을 때 데이터가 많은 쪽에 매칭. 자체(셀프) 조인 - 대상 테이블이 하나. 어제 등가조인을 수행했을 때 107개가 아닌 106개가 나온 것을 보았을 것이다. 이럴 때 포괄..? p196 데이터만 같으면 컬럼이 다르더라도 얼마든지 수행 가능. 이큐조인이 수행하는 연산자가 '='라는 연산자를 사용하기 때문. 숫자는 숫자와 비교, 문자는 문자와 비교가 되는 datatype만 같으면 된다. 프라이머리키(pk, 기본키)와 포린키(fk,..

교재로는 p72 리스트 (list) python의 자료구조 형태 중 하나 대괄호([])로 작성되어지며, 리스트 내부의 값은 콤마(,)로 구분 순서가 있는 수정 가능한 객체의 집합 추가, 수정, 삭제 가능 인덱스처럼 리스트도 번호가 있다. 0부터 시작. 마찬가지로 리스트도 인덱싱처럼 마이너스 가능. list = [1, 2, 3, 4] 리스트명 = [요소1, 요소2, 요소3, …] 리스트[start 인덱스 : end 인덱스] - start 인덱스부터 end 인덱스 바로 전까지 값 반환 ( st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