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time wait port kill
- 오블완
- 실행중인 포트 죽이기
- 려려
- conda base 활성화
- conda base 기본 설정
- 티스토리챌린지
- window netstat time wait 제거
- conda 가상환경 설정 오류
- 3000 port kill
- conda 기초 설정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99)
모도리는 공부중

너무나 간단하지만 나중에 또 헷갈리고 있을 나(같은 분)를 위해 남깁니다. 개발자 도구(F12 혹은 Ctrl+Shift+I) - Network탭 - Name category - Headers 마우스 휠을 돌려서 스크롤을 쭉 내려보면 Form Data에 내가 담은 값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보여지는 형태는 name: value이며, get형식이 아닌 post로 담은 경우 url에서 직접적인 확인이 불가하므로 개발을 진행하는 도중에 확인하고자 할 땐 위와 같은 방식으로 어디서 막히고 있는지 확인하자. 더보기 node.js를 좀 더 잘 활용하고 싶다면 아래 잘 정리된 글 확인 ↓ [Node.js] FormData 객체 전송 1. Text 데이터 전송 일반적으로 form 태그를 이용하여 Text 데이터를 전..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네이버 D2 https://d2.naver.com/home
제목에서 예상되듯이 해결 못한 상황입니다. 이 글(?)을 통해 도움을 얻는 분도 계시겠지만 저와 같은 상황이라면 오히려 정리되지 않은 링크 모음 글이기에 헷갈릴 수 있습니다. 양해 바랍니다. ubuntu 18.04부터는 network/interfaces를 수정하지 않고 netplan/*.yaml을 손대서 수정 및 설정이 가능하다. 이 점이 이전 버전 ubuntu들과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한다. 하지만 18.04도 이전과 동일한 해당 경로로도 수정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설정을 위한 방법으로 2가지를 아래 글에서는 권유하고 있다. 나의 경우 이미 전 사수가 공유기를 통해 네트워크 설정을 마쳤기에(netplan으로 작업한 것으로 보인다.) 사용하는데 지장이 없었으나 업무상 해당 공유기가 ubuntu 컴퓨..

작업을 진행하면서 backend를 실행한걸 잊고 vscode를 종료, 재실행했더니 아래와 같이 3000 port에서 app crash를 일으켰다. (base) PS D:\Project\backend> npm run start > studying-modory@0.0.0 start D:\Project\backend > cross-env NODE_ENV=local nodemon ./bin/www [nodemon] 2.0.13 [nodemon] to restart at any time, enter `rs` [nodemon] watching extensions: js,mjs,json [nodemon] starting `node ./bin/www` DB connected : local running port: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