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conda 가상환경 설정 오류
- 려려
- conda base 활성화
- 3000 port kill
- conda 기초 설정
- window netstat time wait 제거
- time wait port kill
- 오블완
- 티스토리챌린지
- conda base 기본 설정
- 실행중인 포트 죽이기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99)
모도리는 공부중
같이 일하는 동료에게 내가 만든 것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던져주고 싶다. 날마다 발전하자. 1일 더보기 swagger 작성이 왜 이리 쉬운듯 어려운 것인가.. 결국 json이 아닌 yaml 형태로 작성해서 하는 중인데 아직 swagger 문서 형태가 익숙하지 않다. [NodeJS] JSON을 이용한 Swagger작성하기 Nodejs에서 Swagger 작성 velog.io [Swagger] Open API 3.0 Swagger v3 상세설정 ※ 실습 프로젝트는 Github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jeonyoungho.github.io [Node.js] 랜덤 문자열을 이용하여 임시 비밀번호/세션키/인증번호 생성 응용하기 가끔 개발을 하다보면 랜덤 문자열을 생성해야할 경우가 생긴다. 나의 경우 세션키 또..
5일 더보기 주말을 이용하여 node.js/express.js/restful api 등의 이해를 완벽히 끝내놓고자 게으름 끝에 카페에 나와 공부를 시작했다. 확실히 게으름 피우는 몸은 집에 가둬둘 것이 아니라 움직여 밖으로 나와야한다는 것을 다시금 깨닫고 공부하는 중이다. 시간은 왜 이리 야속하게도 빠른지.. 오늘 공부 가능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으므로 좀 더 열차게 공부하자. 오랜만에 전에 듣다가 말았던 sk planet youtube 강의를 다시 꺼내서 듣고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GU_UMDVEdM&list=PL9mhQYIlKEhfedWZfhcP6JCb83gDo1T9r 오늘~내일 중으로 완강하고 restful api를 빠르게 들어갈 수 있도록 노력해보자. ..

공부는 계속 하고 있습니다. 다만 전처럼 블로그가 계속 더럽(?)혀지는 느낌으로 글을 쓰기보단 좀 정리된 상태에서 글을 쓰는 것이 더 낫다는 판단 하에 메모장처럼 써내리는 글은 비공개로 작성하고 이처럼 검색한 것을 정리하는 것은 월별로 정리하여 올리기로 했습니다. 작년(2021) 하반기처럼 글을 난잡하게 쓰지 않는 것이 올해(2022) 목표입니다. 최대한 깔끔히 쓰려고 노력해보겠습니다... 5일 더보기 나는 백엔드 개발을 하고자 하는데 요즘 자꾸 인프라에 대한 부분을 요구 받는 느낌이다. 정말.. 혼돈이다. 그래서 좀 알아봐야겠다. OKKY | 서버개발자와 백엔드 개발자의 차이 안녕하세요. 어저께 개발 기준의 프론트와 기능 기준의 프론트의 개념에 대해서 질문드렸었는데요 http://okky.kr/arti..
쓸데없이 글 목록만 늘어가는 것 같아서 월별로 정리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겠다는 생각이 들어 12월부터는 월별 정리를 하고자 한다. 각 날짜마다 더보기(접은글) 방식을 활용하여 그 달의 검색한 날들을 정리하는 방식으로 글을 작성할 계획이다. 11월도 추후 정리 예정. 13일의 궁금증 더보기 [HTML] input 타입 number 알아보기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서버에 전달하기 위한 입력 양식으로 텍스트 타입이 아닌 숫자타입인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들어 가입월 또는 일등을 나타낼때 숫자로 입력받게 합니다. 이런 경우 input webisfree.com https://tcpschool.com/html-tags/input 코딩교육 티씨피스쿨 4차산업혁명, 코딩교육, 소프트웨어교육, 코딩기초, SW코딩, 기초코..

몽고DB의 디렉터리는 설치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며 $ C:\Program Files\MongoDB\Server\버전넘버\data 를 기본적으로 사용한다. 여기서 \data\db 디렉터리를 데이터 디렉터리로 사용한다. $ C:\Program Files\MongoDB\Server\버전넘버\bin\mongod.exe --dbpath D:\Databases\MongoDB\버전넘버\data\db 다른 디렉터리를 사용하고 싶다면 몽고DB를 사용(시작)할 때 원하는 경로를 지정해야 한다. 해당 경로는 --dbpath와 함께 명시한다. 디렉터리 설정은 설치 과정에서부터 지정해줄 수도 있다.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를 먼저 만들고 입력해주면 된다. 아래는 그 방법을 기술하고자 한다. 우선, 다운로드 홈페이지에 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