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실행중인 포트 죽이기
- conda base 활성화
- window netstat time wait 제거
- 오블완
- time wait port kill
- conda base 기본 설정
- 티스토리챌린지
- 3000 port kill
- 려려
- conda 가상환경 설정 오류
- conda 기초 설정
Archives
- Today
- Total
모도리는 공부중
2025.02. 개발 궁금증 링크 일기 본문
728x90
반응형
CI/CD - Jenkins
[Git/Github] Repository의 Deploy key 사용하기 (ssh-keygen, 공개키, 비밀키)
Github Actions를 개인 리포지토리에서 테스트 완료 후 회사 조직에 속한 리포지토리에 공식 테스트 및 반영하고자 했다.
github actions yaml 파일 작성을 마치고 secrets 등록하려고 봤더니, 조직의 owner 권한 혹은 레포 별 admin 권한을 소유해야 settings에 접근 후 secrets에 등록 가능하다는 문제를 맞이하게 되었다.
내 권한이 member이므로 권한을 요청하지 않고 매번 수정할 수 있어야 업무 효율성이 좋겠어서 급 Jenkins로 시선을 돌리게 됐다.
watch 모드를 발동시키려면?을 알아보다보니 github repository에 Deploy keys(ssh pub키)를 등록하거나, Webhooks 설정 아니면 Jenkins에서 Poll SCM을 활성화하여 주기적으로 레포지토리를 확인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외 방법으로는 Github actions에서 Jenkins api로 트리거를 보내는 방법도 있다고 한다.
GitHub Action으로 Jenkins에 요청보내기
728x90
반응형
'내 지식 정리 > 날것 그 자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 2006 mysql server has gone away brokenPipeError - db 연결 끊긴 후 요청 시 발생하는 문제 (feat. ChatGPT) (0) | 2025.01.31 |
---|---|
[GithubAction] Github 제공 러너 vs Github Actions 자체 호스팅 러너 (feat.ChatGPT) (0) | 2025.01.17 |
[URL링크하기] QR코드 생성 (feat. ChatGPT) (0) | 2025.01.10 |
[DB 보안] db ↔ 애플리케이션 연결 SSL 구성 관련 (feat. ChatGPT) (0) | 2025.01.07 |
2025.01. 개발 궁금증 링크 일기 (0) | 2025.01.02 |
Comments